<백유경(94) - 털을 갖고 다툰 아이와 선인(仙人)>
옛날에 어린 아이 둘이서 강에 들어가 놀다가
강 바닥에서 털 한 움큼을 찾았습니다.
한 아이가 말했습니다.
"이것은 선인(仙人)의 수염이다."
그러자 다른 아이가 말했습니다.
"이것은 큰 곰의 털이다."
그때 그 강가에 어떤 선인(仙人)이 살고 있었습니다.
이 두 아이는 서로 다투다가 할 수 없이
그 선인에게 가서 의심나는 것을 판결해 달라고 하였습니다.
선인은 곧 쌀과 깨를 입에 넣고 씹다가
손바닥에 뱉어 놓고 아이들에게 말했습니다.
"내 손바닥에 있는 것은 공작의 똥과 같다."
이처럼 남의 물음에 대답하지 않은 선인을
사람들은 모두 비웃었습니다.
--------------
1. 동문서답
‘털 한 줌’을 갖고 무엇인지 물었는데,
‘공작의 똥’이라는 엉뚱한 대답을 합니다.
그야말로 동문서답(東問西答)입니다.
2. 바른 설법
불교의 <보살계> 중에
“잘 알지 못하면서 스승이 되려고 하지 말라”는
계율이 있습니다.
보살은 경전을 잘 배우고 계율을 잘 지켜서
경전과 계율의 뜻과 인연을 잘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가르침이 필요한 사람에게
바르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경전과 계율의 내용도 잘 모르면서
아는 체하는 것은 자신을 속이고 남을 속이는 짓입니다.
그러면 자신만 망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도 망치게 됩니다.
남에게 가르침을 주려는 사람은
바른 법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어리석은 사람은
잘 알지도 못하면서 아는 체 합니다.
질문에 대해 쓸데없는 것은 말하면서
바른 이치는 대답하지 않습니다.
저 선인이 묻는 것에는 대답하지 않고
쌀과 깨를 씹어 뱉으면서 엉뚱한 말을 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부처님의 법을 바르게 알려고 노력하고
상대의 질문에 바른 답을 주는 진실한 불자가 됩시다.
나무 석가모니불
'백유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유경(96) 연못 속의 황금 그림자 (0) | 2025.06.11 |
---|---|
백유경(95) 환자를 치료하다가 두 눈을 튀어나오게 한 의사 (0) | 2025.06.03 |
백유경(93) 만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한 브라만 제자 (0) | 2025.05.20 |
백유경(92) 아들의 자랑 (1) | 2025.05.14 |
백유경(91) 없는 것을 달라고 한 사람 (0)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