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사용 설명서38 불교사용설명서(38) — 탑 오늘은 절에서 흔히 만나는 ‘탑’,불탑(佛塔)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절에 가보면 법당 마당 한가운데하나 또는 쌍으로 세워진 탑을 볼 수 있습니다. 탑 앞에 서서 합장하고 예배하는 불자,조용히 탑 주위를 돌며 사방 사방마다합장 반배를 올리는 불자들도 있습니다. 탑은 불상을 모신 법당과 함께절에서 가장 소중한 신앙의 대상입니다. 그렇다면 왜 절에는 탑이 있고,불자들은 탑 앞에서 공경의 예배를 올릴까요? 탑은 원래 인도 말 ‘스투파(stupa)’에서 유래했습니다. 중국에서는 이를 ‘탑파(塔婆)’라 했고,우리나라에서는 줄여서 ‘탑’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스투파는 부처님의 유골인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모신 곳입니다. 2500년 전,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셨을 때,그 유해를 화장하여 스.. 2025. 7. 30. 불교사용설명서(37) - 미륵전 오늘은 미륵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미륵전은 이 땅에 오실 미래의 부처님,미륵 부처님을 본존으로 모신 전각입니다. 미륵 부처님께서는 용화수 나무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고중생을 교화하시므로 ‘용화전(龍華殿)’이라고도 합니다. ‘미륵’은 인도말 ‘마이트레야(Maitreya)’의 음역으로,자비와 우정을 뜻합니다. 그래서 미륵 보살을 ‘자씨(慈氏) 보살’이라 부르며,김제 금산사 미륵전을 ‘대자보전(大慈寶殿)’이라고도 합니다. 미륵 신앙에는 ‘상생 신앙’과 ‘하생 신앙’이 있습니다. ‘상생(上生) 신앙’은, 미륵 보살님이 계시는 도솔천에 올라가그 곳에서 미륵 보살님과 함께 수행하겠다는 신앙입니다. 미륵 보살님은 석가모니 부처님으로부터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고 지금도 도솔천에서 설법 중이십니다. .. 2025. 7. 17. 불교 사용 설명서(36) 약사전 오늘은 약사여래 부처님을 모신 약사전을 살펴보겠습니다. 약사 여래 부처님은동방 유리광정토(東方琉璃光淨土)의 부처님입니다. 서방 극락정토에 아미타 부처님이 계시다면약사여래 부처님은 동방의 불국토를 대표합니다. 그래서 대웅보전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본존으로왼쪽에 아미타 부처님, 오른쪽에 약사여래 부처님의 삼존불을 모십니다. 약사여래 부처님은 동쪽으로10항하사수(恒河沙數,갠지스강의 모래알 수)불국토를 지나 정유리광세계(淨琉璃光世界)에 계시다고 합니다. 그래서, 약사전을 ‘유리광전(琉璃光殿)’이라고 하며,또한 만월세계를 이루셨기에 ‘만월보전(滿月寶殿)’이라고도 합니다. 약사여래 부처님는 모든 중생들의 질병을 고쳐주고 재앙으로부터 구해주며나아가 깨달음을 얻도록 도와주시기에 ‘대의왕불(大醫王佛)’이라고 .. 2025. 7. 4. 불교 사용 설명서(35) 지장전(地藏殿) 지장전은 지장 보살님을 모신 법당입니다. 지장 보살님은 저승 세계인 명부(冥府)에서중생 구제를 위해 애쓰시고 있기에 ‘명부전’이라고도 하고,명부에서 시왕들이 심판을 담당하기에 시왕전(十王殿)이라고도 합니다. 명부전에는 업경대(業鏡臺)가 있습니다. 생전에 지은 선악의 업이 모두 거울 속에 나타나기 때문에업경대를 보고 시왕이 심판을 한다고 합니다. ‘지장(地藏)’의 ‘지(地)’는 대지를 말하고‘장(藏)’은 태(胎)나 자궁을 말합니다. ‘지장’은 아기를 잉태한 모태처럼만물을 기르는 힘을 땅에 비유하여지장 보살님의 덕성을 나타냅니다. 마치 땅과 같이 무수한선근(善根) 종자를 품고 있으므로‘지장(地藏)’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에 의하면 지장 보살님은 전생에 소녀였다고 합니다. 소녀는 각화정자재왕 부.. 2025. 6. 20. 이전 1 2 3 4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