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의 역사57

불교의 역사(56) - 유식 불교(4) - 마음의 그림자 1. 제8식 아뢰야식과 일수사견 (一水四見)  한편, 유식에서는 우리가 대상을 어떻게 왜곡해서 보는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피고 있습니다. 유식에서는 3 단계의 과정이 있다고 합니다. 첫째는 제8식으로부터 달라집니다. 우리는 훈습된 경험을 바탕으로,즉 우리의 과거의 경험이 아뢰야식에 쌓인 종자의 영향을 통해 대상을 바라봅니다. 똑같은 한 사람을 보고도 제각기 대상이 다르게 보이는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즉, 아뢰야식의 내용에 따라 대상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유식에서는 여기에 대한 비유로서 "일수사견(一水四見)"의 비유를 많이 씁니다. 하나의 물에 대해 보는 각각의 주체에 따라 하나의 물이 4가지로 달리 보인다는 것입니다. "인간은 물을 물로 보지만,천상의 존재인 천인들은 물을 유리 보석으로 보며,고기.. 2024. 9. 14.
불교의 역사(55) - 유식 불교(3) - 심층의식과 종자식 1. 유식 불교와 마음의 구조 우리는 내면에서 일어나고 사라지는 무수한 생각과 감정을 매일 접하면서 살아갑니다. 바꾸어 말하면 이러한 생각과 감정의 부단한 흐름이 곧 우리의 삶의 생생한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과 느낌의 흐름을 제대로 포착하고 이해하며 사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저 일어나고 사라지는 마음에 이끌려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 고작입니다. 즉, 일어나고 사라지는 마음에 언제까지 이끌리고 예속되어살아가는 삶이 우리의 현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식 불교는 이러한 우리의 현실을 제대로 진단하여이러한 허망한 마음의 예속 상태에서 벗어나 참다운 자유와 해탈을 향해 가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이루.. 2024. 9. 10.
불교의 역사(54) - 유식불교(2) - 유식의 마음 구조 1. 전5식(前五識) 그렇다면 유식불교에서는우리의 마음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을까요? 유식에서는 우리의 마음의 구조를8가지로 구분하여 이해하고 있습니다. 제1식은 우리의 눈을 통해 형상과 색깔을 구분하는 시각,제2식은 우리의 귀를 통해 소리를 듣는 청각,제3식은 코를 통해 냄새를 맡는 후각,제4식은 혀를 통해 맛을 구별하는 미각,제5식은 몸을 통해 감촉을 아는 촉각입니다. 이 5가지를 전 5식(前五識)이라고 부릅니다. 전5식은 우리들의 감각 기관의 최전선에서바깥 정보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즉, 우리의 5가지 감각기관을 통한 감각 작용입니다.  2. 의식(6식) 그리고, 제6식은 감각기관을 통해받아들인 전5식을 뇌 작용을 통헤 종합, 정리하는 의식(意識)입니다. 우리들이 흔히 의식이 있다, 없다라고 .. 2024. 8. 29.
불교의 역사(53) - 유식 불교(1) / 유식 불교의 문제 의식 1. 유식(唯識)의 뜻 유식 불교는 대승 중기에 여래장, 불성 사상과 함께발달한 중요한 불교사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식(唯識)"은 "오직 식(識)의 작용이다.","모든 것은 마음뿐이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우리의 마음 구조를 살펴보고,이에 대한 통찰을 통해해탈로 나아가는일종의 해탈을 위한 심리 불교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유식 불교는 공(空) 사상과 함께대승 불교의 양대 산맥이라고 할 정도로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의 하나의 비유를 통해유식불교가 문제 삼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합시다. 경험해본 사람은 알겠지만,옛날 시골의 논둑이나 밭둑길을 걷다 보면풀섶에서 썩은 짧은 새끼줄이 떨어진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런데, 간혹 그 새끼줄이 사람의 가슴을쓸어내리게 하는 경우가 있는데.. 2024. 8.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