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의 역사90

불교의 역사(89) - 티벳 밀교(3) - '람림'과 보리도차제 1. 람림(깨달음에 이르는 단계적 수행법) 티벳 불교의 수행법의 특징은‘람림(Lamrim)’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람림은 밀교 수행으로 들어가기 전에반드시 거쳐야 할 준비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람림’의 ‘람’은 '길(道)'이고, ‘림’은 '단계'라는 뜻입니다. 람림은 ‘깨달음으로 이끄는 단계적 수행법’입니다.  2. 스승에 대한 귀의 람림에서 스승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스승은 제자의 의식이 어느 정도에 이르렀는지를 판단해서그에 알맞은 수행방법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시기를 정합니다. 두통약을 먹어야 할 환자에게 소화제를 주거나,소화제를 먹어야 할 환자에게 항암제를 준다면약이 환자에게 도움이 안 될 것입니다. 수행이 약이라면 수행자는 환자입니다. 자격 있는 스승을 만나서 안내를 받는다면쓸데없이 길을.. 2025. 3. 31.
불교의 역사(88) - 티벳 밀교(2) - 티벳 불교 종파와 수행 특징 1. 티벳 불교의 4대 종파 티벳 밀교 불교는 크게 4개의 종파로 나뉩니다.  그 종파의 이름은 겔룩파, 사캬파, 까규파, 닝마파 입니다. 그 외 이반파 등 군소파들도 여럿 존재합니다.  이 네개의 종파들 중 가장 그 역사가 오래된 종파는 닝마파입니다.오래되었다고 해서 '구파(nyingma)'라고도 합니다. 닝마파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종파들은 모두 '신파(sarma)'라고 합니다.  이는 크게 경전의 번역 시기에 따라 구분한 것입니다.  닝마파는 티베트에 인도의 불교가 처음 도입되던 7세기 경 법왕들의 후원으로 번역된 경전을 바탕으로 성립된 종파입니다.  나머지 3개 겔룩파, 사캬파, 까규파는 모두 10세기와 11세기 경에 지방 귀족들에 의해 새롭게 번역된 경전을 바탕으로 성립된 종파들입니다. 이 4.. 2025. 3. 30.
불교의 역사(87) - 티벳 밀교(1) - 티벳 불교의 역사 11세기 인도는 이슬람의 침입을 받게 됩니다. 이슬람은 불상을 파괴하고 승려들을 죽이는 등 인도의 불교(밀교)는 커다란 위기를 맞게 됩니다. 이슬람의 침입을 기점으로 많은 인도 밀교 수행자들이 티벳으로 넘어갔습니다. 티벳으로 넘어간 인도 밀교 수행승들에 의해티벳 불교는 인도 밀교의 전통을 이어받게 됩니다. 티벳 불교의 모습을 통해 인도 밀교적 전통이 어떻게 전승되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티벳 불교의 전래와 수용 티벳에 불교가 널리 퍼지기 시작한 것은 8세기 부터입니다. 7세기 초반 송첸감포 왕(Srong btsan sgam po, 재위 643∼649)이작은 부족들을 통합해서 통일 티벳 왕국을 처음 세우게 됩니다. 그 때 중국 당나라와 평화 조약 조건으로당나라 문성(文成) 공주가 시집올 때 .. 2025. 3. 19.
불교의 역사(86) - 불교 탄트라(3) - 무상 유가 탄트라 8세기 이후에 성립된 불교 탄트라(후기 밀교)를티벳 불교에서는 '무상 유가 탄트라'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그 역사적 전개에 따라 1. 방편·부(父)탄트라 2. 반야·모(母)탄트라 3. 불이(不二) 탄트라 로 나눕니다.   1. 방편·父탄트라 우선 제일 먼저 형성된 것이 ·父탄트라>입니다. '방편'은 등에서 '중생들을 잘 구제하기 위한 자비의 수단'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방편은 이처럼 자비 혹은 동(動)적인 의미로 사용되므로밀교에 와서는 '바른 지혜'를 뜻하는 '반야'와 한 쌍이 되었습다. 그런데, 감각을 강조하고 모든 사물을 심볼(symbol)로 상징하기 좋아하는 밀교입니다. 그래서, 이와 같은 이원론은 가장 이해하기 쉽게 남녀로 치환되어'방편 탄트라'는 '父탄트라'로, '반야 탄트라'는 '母탄트라'.. 2025. 3.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