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35

[백유경1] 백유경을 시작하며 1. 백유경이란? 이번 시간부터 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은 "100가지 비유의 경전"이라는 뜻입니다. 재미있는 비유를 통해 불법의 가르침을 안겨주는 불교판 "이솝 우화"입니다. 은 5세기경 인도의 스님이 사람들에게 불교적 깨우침을 주고자 100개의 이야기로 지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지금은 2개의 이야기는 남아 있지 않고, 98개의 이야기만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2. 지혜 불교는 지혜와 자비의 종교입니다. 지혜는 어리석음에서 벗어나는 밝은 눈입니다. 어리석음이란 무엇일까요? 자신의 욕심을 다스리지 못해 수렁에 빠지는 사람, 자기 생각에만 빠져 남을 이해하지 못하고 미워하는 사람, 사리 분별을 잘 못해서 옳고 그름을 가리지 못하는 사람이 어리석은 사람이겠지요. 우리가 밝은 눈으로 상대를 이해하고,.. 2023. 8. 5.
새로운 수행의 길(부처님의 일생6) 1. 고행의 포기 부처님은 6년 고행을 하셨다고 합니다. 그러나, 부처님이 구하는 해탈의 길을 발견하지 못하셨습니다. 부처님은 몸을 괴롭히는 고행에 대해 진지하게 의문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부처님은 결코 육체적 욕망에 의하여 고행을 포기할 분은 아니었습니다. 부처님은 당신의 육신이 버텨낼 수 있는 최고의 고행을 경험하셨습니다. 그러나, 육신의 고통이 뼈와 살을 파고들수록 참된 나의 실체가 드러나는 시원한 깨달음이 오는 것이 아니라, 더욱더 고통에 빠져듬을 직시하셨습니다. 부처님은 6년 고행을 점검하고 생각을 정리했습니다. "육체를 괴롭히는 고행은 육체의 극복이 아니라 오히려 육체에 대한 집착을 더한다." 2. 2가지 잘못된 극단의 길 아울러 출가 이후 걸어온 수행의 길을 관조하며 진지하게 돌이켜 보았습니.. 2023. 8. 5.
염불의 불교와 3가지 마음 지난 시간에 정토 신앙을 ‘염불의 불교’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정토 신앙은 극락 세계로 인도하시는 아미타 부처님의 자비와 원력을 믿고 염불해서 극락왕생하여 성불의 길을 가자는 염불의 불교입니다. 그러면 정토 신앙의 길을 가는 수행자는 어떤 마음가짐으로 염불해야 할까요? 어떻게 염불해야 마음의 안심(安心)을 얻을 수 있을까요? 이라는 정토 경전을 보면 염불하는 사람이 가져야 할 3가지 마음 자세가 나옵니다. 아미타 부처님을 향해 다음의 3가지 마음으로 간절히 기도하라고 이야기합니다. 그 3가지 마음은 과연 어떠한 마음 세계일까요? 1. 지성심 첫째는 거짓 없는 진실한 마음인 ‘지성심(至誠心)’입니다. 원불인 아미타 부처님을 생각하는 마음이 거짓없이 진실해야 합니다. 아미타 부처님의 자비와 원력에 진심으로 감.. 2023. 8. 4.
6년 고행 (부처님의 일생5) 1. 부처님의 고행 이번 시간에는 부처님의 ‘6년 고행(苦行)’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처님은 출가후 인도에서 해탈을 위한 수행의 두 트랜드인 ‘고행’과 ‘선정(명상)’을 경험하셨습니다. 그러나, ‘고행’을 통해 천상에 태어나고자 하는 것은 목적과 수단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통찰하셨고, 선정(명상)을 통해 특별한 정신 집중의 경지에 오르셨지만 원하시던 해탈의 경지는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진지하게 해탈에 이르는 길을 찾으셨는데, 고행(苦行)을 통해 해탈에 이르는 길을 발견하시고자 노력하셨습니다. 보통 ‘6년 고행’이라고 부를 정도로 부처님은 고행을 통한 해탈에 공을 들이셨습니다. 우리는 부처님의 고행을 대충 넘어 가는 경향이 있는데, 부처님이 어떤 이유로 고행을 하셨는지를 잘 이해해야 쾌락과.. 2023.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