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의 역사90

불교의 역사(73) - 신앙의 불교(9) - 신라의 미륵 신앙과 원효 대사 1. 미륵 신앙과 화랑도 백제의 미륵 신앙처럼신라도 미륵 신앙이 성행했습니다. 특히, 신라는 현실 정토적 미륵 신앙이 널리 퍼졌습니다. 신라의 화랑 제도는 미륵 신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에는 신라 진지왕 때미륵 부처님을 섬기는 흥륜사의 승려인 진자 스님이 미륵 불상 앞에서 미륵 부처님이 화랑으로 화신하여세상에 나타나기를 빌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미륵 부처님이백제 웅천(현재의 공주) 땅에서 ‘미시’라는 이름으로 나타나7년간 화랑의 우두머리인 국선으로 모셨다고 하는 '미시랑' 설화가 전합니다. 또한, 화랑 시절 김유신이 자신을 따르는 낭도들을'미륵 부처님께 향을 바치는 낭도들의 무리'라는 뜻의‘용화향도’(龍華香徒)'라고 불러습니다. 용화세계는 미륵 부처님이 오시면 건설한다는 정토(불국토)입니다. 즉.. 2024. 12. 29.
불교의 역사(72) - 신앙의 불교(8) - 백제의 미륵 신앙 1. 우리 민족의 미륵 신앙 미륵 신앙은 아미타불 신앙과 더불어 우리 민족에게 큰 영향을 끼친 신앙입니다. 삼국 시대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로 미륵 부처님은 고구려, 백제, 신라에서 공통적으로 숭배되었습니다.오늘날까지도 절 이름뿐 아니라, 산 이름을 비롯한 지명에 미륵’, ‘도솔’, ‘용화’ 등 미륵과 관련된 이름이 남아 있습니다.그리고, 민간에도 미륵 불상과 전설이 많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우리 민족에게 미륵 신앙이 얼마나 큰 영향을 끼쳤는지 알수 있습니다.우리 민족은 미륵 신앙을 어떠한 형태로 수용하였을까요?앞에서 살펴본대로 미륵 신앙은 두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하나는 미륵 보살님이 계시는 도솔천(천상 세계)에 태어나려는 상생 신앙입니다. 도솔천은 불교의 우주관에서 욕계 4천 중 하나입니다.'부족함이.. 2024. 12. 25.
불교의 역사(71) - 신앙의 불교(7) - 미륵 상생, 미륵 하생 신앙 1. 미륵 신앙의 2가지 형태 오늘은 미륵 신앙의 형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미륵 신앙은 전통적으로 두 가지 형태의 신앙 형태가 있습니다. 하나는 미륵 보살님이 계시는도솔천에 태어나려는 미륵 상생(上生) 신앙이고,다른 하나는 미륵 부처님이 오시면용화 세계에 태어나려는 미륵 하생(下生) 신앙입니다. 먼저 미륵 보살님이 계시는 도솔천에 태어나려는미륵 상생(上生) 신앙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 도솔천  그렇다면 미륵 보살님이 계시는 도솔천은 어떤 천상 세계일까요? 도솔천은 인도말 '투시타(Tuṣita)'의 음역으로그 의미는 '만족함을 아는 천상세계'로 '지족천(知足天)'이라고도 합니다. 즉, 도솔천에 사는 존재들은 오욕락(五欲樂)을 만족하고 있어서지나친 탐욕을 부리지 않는 높은 정신 세계를 갖고 있습니.. 2024. 12. 20.
불교의 역사(70) - 신앙의 불교(6) - 미륵 신앙 1. 대승불교의 다불성과 정토 신앙 대승 불교는 수많은 불보살님을 신앙합니다. 이와 같은 대승불교의 다불설(多佛說)은정토 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정토 사상은 각각의 수많은 부처님께서부처님의 원력(서원)에 상응하는 부처님의 땅,즉 정토(淨土, 불국토)를 건설하여그 곳에서 중생들을 진리의 세계로 이끈다는 사상입니다. 따라서, 정토 사상과 다불설은중생들을 폭넓게 구제하려는 대승 불교의이타 정신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정토 신앙의 모습은서방의 아미타 부처님의 극락 정토,동방의 아촉불의 묘희(妙喜) 세계(정토)와 같은공간적으로 다양한 정토(불국토)의 모습이 펼쳐집니다. 이와 같은 공간적인 정토 신앙과는 달리시간적으로 미래세에 건설될 정토 세계에 대한 신앙 또한 존재합니다.  2. 이 땅.. 2024.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