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66

새로운 수행의 길(부처님의 일생6) 1. 고행의 포기 부처님은 6년 고행을 하셨다고 합니다. 그러나, 부처님이 구하는 해탈의 길을 발견하지 못하셨습니다. 부처님은 몸을 괴롭히는 고행에 대해 진지하게 의문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부처님은 결코 육체적 욕망에 의하여 고행을 포기할 분은 아니었습니다. 부처님은 당신의 육신이 버텨낼 수 있는 최고의 고행을 경험하셨습니다. 그러나, 육신의 고통이 뼈와 살을 파고들수록 참된 나의 실체가 드러나는 시원한 깨달음이 오는 것이 아니라, 더욱더 고통에 빠져듬을 직시하셨습니다. 부처님은 6년 고행을 점검하고 생각을 정리했습니다. "육체를 괴롭히는 고행은 육체의 극복이 아니라 오히려 육체에 대한 집착을 더한다." 2. 2가지 잘못된 극단의 길 아울러 출가 이후 걸어온 수행의 길을 관조하며 진지하게 돌이켜 보았습니.. 2023. 8. 5.
염불의 불교와 3가지 마음 지난 시간에 정토 신앙을 ‘염불의 불교’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정토 신앙은 극락 세계로 인도하시는 아미타 부처님의 자비와 원력을 믿고 염불해서 극락왕생하여 성불의 길을 가자는 염불의 불교입니다. 그러면 정토 신앙의 길을 가는 수행자는 어떤 마음가짐으로 염불해야 할까요? 어떻게 염불해야 마음의 안심(安心)을 얻을 수 있을까요? 이라는 정토 경전을 보면 염불하는 사람이 가져야 할 3가지 마음 자세가 나옵니다. 아미타 부처님을 향해 다음의 3가지 마음으로 간절히 기도하라고 이야기합니다. 그 3가지 마음은 과연 어떠한 마음 세계일까요? 1. 지성심 첫째는 거짓 없는 진실한 마음인 ‘지성심(至誠心)’입니다. 원불인 아미타 부처님을 생각하는 마음이 거짓없이 진실해야 합니다. 아미타 부처님의 자비와 원력에 진심으로 감.. 2023. 8. 4.
6년 고행 (부처님의 일생5) 1. 부처님의 고행 이번 시간에는 부처님의 ‘6년 고행(苦行)’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처님은 출가후 인도에서 해탈을 위한 수행의 두 트랜드인 ‘고행’과 ‘선정(명상)’을 경험하셨습니다. 그러나, ‘고행’을 통해 천상에 태어나고자 하는 것은 목적과 수단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통찰하셨고, 선정(명상)을 통해 특별한 정신 집중의 경지에 오르셨지만 원하시던 해탈의 경지는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진지하게 해탈에 이르는 길을 찾으셨는데, 고행(苦行)을 통해 해탈에 이르는 길을 발견하시고자 노력하셨습니다. 보통 ‘6년 고행’이라고 부를 정도로 부처님은 고행을 통한 해탈에 공을 들이셨습니다. 우리는 부처님의 고행을 대충 넘어 가는 경향이 있는데, 부처님이 어떤 이유로 고행을 하셨는지를 잘 이해해야 쾌락과.. 2023. 8. 4.
강진 백련사 1. 백련사와 동백꽃 남도의 강진 백련사. 우리나라에서 봄이 제일 먼저 찾아오는 도량입니다. 백련사 올라가는 길은 1,700그루의 운치있는 동백 나무가 숲이 있습니다. 남도의 겨울은 동백나무의 자르르 윤기 나는 잎들로 봄처럼 포근한 느낌입니다. 붉은 동백꽃이 피는 2월의 백련사 숲길은 더욱 아름답습니다. 백련사 입구에 만경루와 배롱나무가 있습니다. 백련사를 오르면 호수 같기도 하고 바다 같기도 한 강진만이 아스라이 펼쳐져 있습니다. 극락의 연못을 바라보는 것 같아서 평화롭고 안온합니다. 2. 백련 결사와 요세 스님 백련사는 작은 도량이지만, 정토행자인 저에게는 큰 의미가 있는 도량입니다. 바로 고려 시대 때 염불 수행 운동인 ‘백련결사(白蓮結社)’가 이루어진 도량이기 때문입니다. 만덕산 자락의 백련사는 .. 2023. 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