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의 역사92

불교의 역사(11) - 보살과 보리심 1. 대승불교는 보살불교 지난 시간에 부처님의 전생담을 통해 보살의 길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찬불승들은 성불하기 위한 부처님의 전생인 보살의 모습을 통해 이 땅의 불자들이 걸어야 할 바른 불교적 삶의 길을 제시하였습니다. 그리고, 보살로서의 바른 불교의 길을 ‘큰 수레를 타고 가는 불교’라는 뜻의 ‘대승 불교(大乘 佛敎)’라고 주장하였습니다. 대승불교는 이타(利他)의 가르침, 즉 일체의 모든 생명을 살리고 이롭게 하려는 불교입니다. 괴로움과 온갖 부조리로 가득찬 세계에서 괴로움과 부조리가 멸한 피안의 저 언덕으로 가는데 있어서, 소승(小乘)이 혼자 노를 저어가는 작은 배라면 대승(大乘)은 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함께 싣고 건너가는 큰 동력의 여객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소승은 개인의 완.. 2023. 11. 24.
불교의 역사(11) - 부처님 전생의 보살행을 담은 본생경 1. 본생경 지난 시간에 연등 부처님으로부터 성불의 수기(약속)를 받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전생담에 대해 살펴 보았습니다. 찬불승들은 석가모니 부처님은 단순히 한 생의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된 것이 아니라, 수많은 생을 보살의 길을 서원하며 보살행의 공덕을 쌓아온 결과 부처님이 되었다고 바라보았던 것입니다. 찬불승들은 인도의 여러 문학 작품에서 모티브를 얻어 부처님의 보살행을 담은 전생담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유통시켰습니다. 이와 같이 석가모니 부처님의 보살행과 관련된 수많은 전생의 이야기를 담은 경전을 ‘본생경(本生經)’이라고 합니다. (인도 말로는 ‘자타카(Jataka)’라고도 부릅니다.) 본생경(本生經)은 보살로서 근본 서원을 세우고 보살로서의 전생(前生)을 살아간 석가모니 부처님의 이야.. 2023. 11. 22.
불교의 역사(10) - 찬불승과 연등불 수기 이야기 1. 8상성도 이번 시간에는 '찬불승(讚佛乘, 부처님을 찬양하는 사람들)' 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절에 가면 부처님의 생애에서 특징적인 8장면을 묘사한 ‘8상성도(八相成道)’를 볼 수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출가하시고, 고행하시고, 깨달음을 얻으시고, 중생을 교화하시는 등의 8가지 장면들을 나타내고 있는 그림입니다. 8상성도의 첫 번째가 ‘도솔래의상(兜率來儀相)’입니다. 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전생인 호명 보살이 도솔천에서 흰 코끼리를 타고 마야 부인의 태 속으로 내려오는 모습입니다. 불교는 6도 윤회를 이야기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인간계뿐 아니라,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천상계의 6도를 자신이 몸과 말과 마음으로 지은 업(業)에 의해 윤회한다는 사상입니다. 2. 도솔내의상의 의미 .. 2023. 11. 20.
불교의 역사(9) - 대승의 출현과 찬불승 1. 대승 불교의 태동 지난 시간에 대승 불교가 일어나게 된 배경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대승(大乘)’은 범어인 ‘마하야나(Mahayana)’를 번역한 말입니다. '마하(Maha)'는 '크다. 수승하다. 훌륭하다'라는 뜻이고, '야나(yana)'는 '탈 것, 가르침'이라는 뜻입니다. 즉, 대승은 ‘많은 사람들을 태우고 목적지로 갈수 있는 큰 수레, 큰 가르침’이라는 뜻입니다. 반대로 ‘소승(小乘,Hirayana)’은 혼자만 타고 가는 작은 배, 열등한 가르침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승불교는 언제 어떻게 나타났을까요? 대승불교가 일어난 시기는 약간의 견해 차이는 있지만, 대략 기원전 1세기 경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대승불교는 부파불교에 대한 반동으로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즉, 일부 부파.. 2023.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