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의 역사

불교의 역사(88) - 티벳 밀교(2) - 티벳 불교 종파와 수행 특징

by 아미타온 2025. 3. 30.

<불교의 역사(88) - 티벳 밀교(2) - 티벳 불교 종파와 수행 특징>

 

< 티벳 불교 겔룩파의 수장 달라이라마가 살던 포탈라궁 >

                                                  

1. 티벳 불교의 4대 종파

 

티벳 밀교 불교는 크게 4개의 종파로 나뉩니다.

 

그 종파의 이름은 겔룩파, 사캬파, 까규파, 닝마파 입니다.

그 외 이반파 등 군소파들도 여럿 존재합니다.

 

이 네개의 종파들 중 가장 그 역사가 오래된 종파는 닝마파입니다.

오래되었다고 해서 '구파(nyingma)'라고도 합니다.

닝마파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종파들은 모두 '신파(sarma)'라고 합니다.

 

이는 크게 경전의 번역 시기에 따라 구분한 것입니다.

 

닝마파는 티베트에 인도의 불교가 처음 도입되던

7세기 경 법왕들의 후원으로 번역된 경전을 바탕으로 성립된 종파입니다.

 

나머지 3개 겔룩파, 사캬파, 까규파는

모두 10세기와 11세기 경에 지방 귀족들에 의해

새롭게 번역된 경전을 바탕으로 성립된 종파들입니다.

 

이 4개의 종파들은 서로간에 대립과 교류를 반복해왔습니다.

 

종파들은 각각 다른 명상법과 경전 해석본들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서로 다른 최고 종교지도자를 내세우고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티벳 최고 종교 지도자는

바로 겔룩파의 수장인 달라이 라마입니다.

 

티벳 불교는 여러 가지 경전의 가르침을 정리해

불교 전체의 가르침을 순서를 쫓아 말한 '보리도차제'의 가르침이나,

보살로서의 삶의 방식을 말하는 '로종 수행(마음의 수행)'을 말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용수 보살의 중관 철학을 중심으로 하고,

존재 · 인식에 대한 논리적 사고 능력과

논쟁에 의한 지혜의 획득을 중요시하고 있습니다.

 

티벳 불교는  이와 같이 4대 종파가

역사적으로 확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달라이라마 14세>

 

달라이 라마가 속한 최대 종파인 겔룩파는

티벳 불교의 중흥조로 일컬어지는 쫑카빠 스님이 확립한 종파로,

현교 수행론인 보리도차제론과 밀교 수행론인 밀종도차제론 등이 있습니다.

 

17세기에 제5대 달라이라마(아왕 로상 갸초, 1617∼1682)가

정치권과 종교권에서 최고 지도자의 위치에 오른 후,

겔룩파의 세력이 티벳에서 가장 강해진 것이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습니다.

 

티벳 불교의 각 종파의 가르침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특정한 밀교 수행을 선호한다든지,

밀교 수행에서 얻는 체험을 해석하는 차이에 따라서

각 종파가 강조하는 점이 달랐을 뿐입니다.

 

겔룩파와 사캬파는 강원 교육에 중점을 두었지만,

닝마파와 카규파는 '족첸(rdzogs-chen)'과 '마하무드라(mahamudra)'와 같은 

밀교 수행에 중점을 두는 전통이 있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모든 종파에서

10여년 간의 강원 교육을 마친 후 밀교 수행을 시작합니다.

 

<티벳 불교 법회>

 

2. 티벳 불교 수행의 특징

 

티벳에 처음 소개될 당시의 인도 불교는

대승 불교과 밀교 수행이 결합된 상태였습니다.

 

부처님의 완전한 깨달음을 얻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불교 경전에서 가르치는 수행입니다.

 

이 수행의 핵심은 계율과 선정과 지혜의 3학(學)을 닦는 것입니다.

 

또 다른 방법은 밀교 수행입니다.

 

이 수행은 불교 경전의 가르침과

요가와 밀교의 방법을 결합시킨 것입니다.

 

티벳 불교는 밀교(탄트라) 수행을 강력한 방편으로 사용합니다.

 

겔룩파의 쫑카파 스님은 도덕과 선정과 지혜를 닦아서

자비심과 지혜의 공덕을 쌓은 후에는 밀교 수행을 하라고 충고합니다.

 

티벳 불교도들이 누구나 밀교 수행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밀교 수행은 현교(顯敎) 수행으로 바탕을 확고히 다진 후

다음 단계로 밟을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수행입니다.

 

밀교 수행은 결과가 빨리 오고 강력한 만큼 위험도 큽니다.

 

중관 철학을 확고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밀교 수행을 하면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할 뿐 아니라

오히려 타락하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