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46

불교의 역사(91) - 티벳 밀교(5) - 티벳 밀교 수행 1. 예비 수행 이상과 같이 세 등급의 수행을 거친 후에 비로소 밀교 수행을 하게 됩니다. 밀교를 수행할 때는 현교를 버려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밀교는 현교 위에 부가되는 것이지 대체되는 것이 아닙니다. 밀교 수행자는 단지 밀교 경전을 독송하는 것으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밀교 명상을 하기 위해서 경론(經論)에 대한 지식을 얻어야 합니다. 밀교 수행은 욕망과 질투와 혐오 등의 인간의 기본적인 욕망들을 거부하기보다는오히려 그것들을 건전하고 유익한 힘으로 변화시킵니다. 그것은 내 앞으로 달려드는 야생마를 길들이는 것과 비슷합니다. 야생마의 앞을 가로막고 멈추라고 소리치다가는 말에게 채일지도 모릅니다. 밀교 수행은 옆으로 비껴서 있다가 야생마가 내 곁을 지나가는 순간에 등 위에 올라타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 말.. 2025. 4. 14.
불교의 역사(90) - 티벳 밀교(4) - 중사도(中士道)와 상사도(上士道) (上士道)>  1. 해탈과 중사도 보리도차제의 초급의 수행(하사도)에 충분히 익숙해진 후에는 중급의 수행으로 들어갑니다. 이를 '중사도(中士道)'라고 합니다. 중급 수행인 중사도에서는 개인의 해탈을 구합니다. 해탈의 지혜를 얻기 위해서고통(고)과 고통의 원인(집)과 고통의 소멸(멸)과 고통을 소멸시키는 방법(도)을 가르치는 사성제(四聖諦)에 관해 명상합니다. 육도 윤회에서 헤매는 동안은 업(業)은 피할 길이 없습니다. 신의 세계인 천상계에 태어나더라도 언젠가는 다시 다른 세계로 다시 윤회해야 합니다. 신의 세계인 천상계는 즐거움에 취해 선행을 닦지 않기 때문에 공덕을 쌓지 못해서다른 낮은 세계로 태어나게 됩니다.  그래서, 중급 단계에서는 육도의 윤회 속에 있는 동안은 고통을 피할 수가 없다는 것에 대해.. 2025. 4. 14.
법구경(144) 부처님을 만난 에라까빳따 용왕 이야기 부처님께서 바라나시 근교에 계시던 어느 때,에라까빳따 용왕과 관련하여 게송 182번을 설법하셨다.에라까빳따라는 이름을 가진 용왕이 있었다. 이 용왕은 과거 카사파 부처님 때 오랫동안 비구 생활을 했는데,그때 그는 사소한 계율을 지키지 못한 것을 너무 걱정한 나머지그것이 원인이 되어 해탈하지 못하고 용왕으로 태어난 것이었다. 그는 용왕이 되어서도 법을 듣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여다음 부처님이 세상에 출현하기만 기다리고 있었다. 그렇지만 아무리 용왕이라고 해도 세상에부처님이 출현하신 것을 알아내기는 쉽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자신의 네 딸 가운데 하나를 시켜세상에 부처님이 출현하셨는지를 알아보게 했다. 용왕은 딸로 하여금 게송을 읊게 하고그 게송을 바르게 알아듣는 사람은딸을 아내로 삼게 해주겠다고 공개적으로 .. 2025. 4. 11.
불교사용설명서(30) 목어(木魚) 오늘은 목어(木魚)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어는 수중 중생을 제도하기 위한 법구입니다.  나무로 큰 물고기 모양을 만들어 그 속을 파냅니다.  그리고, 배 안쪽을 작은 막대기로 두드려 소리를 냅니다.  물고기는 늘 눈을 뜨고 있기 때문에수행자는 늘 깨어 있는 상태에서부지런히 정진해야 한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목어에는 재미있는 유래가 있습니다.  옛날 도력이 높은 한 스님이 강을 건너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등에 나무가 자라나 있는 물고기가 다가와 슬피 울었습니다.  그 물고기는 전생에 스님의 제자였습니다.  그런데, 수행을 제대로 하지 않고계율에 어긋난 속된 생활을 일삼았습니다.  그 업보로 물고기로 태어난 것이었습니다.  스님은 그 물고기가 전생의 제자인 줄 알고 도력으로 그 나무를 뽑고 법을 .. 2025.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