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역사90 불교의 역사(77) - 밀교(3) - 밀교의 분류법 1. 시기적 밀교 분류법 밀교를 분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시기적으로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설명하는 방식입니다. 초기 밀교는 인도에서 4세기에서 6세기에 걸쳐 성립한 것으로주술 중심의 아직 체계가 잡히지 않은 밀교입니다. 주로 병을 치료하거나, 장수, 비를 내리게 하는 신통 등의현세적 이익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 처음으로 십일면 관음이나천개의 손을 가진 보살상과 같은 불상이 등장합니다. 중기 불교는 7세기 중엽에 성립된 , 등을 기반으로 한 체계화된 밀교입니다. 에는 수인을 하는 결인법,진언의 염송법 및 조직화된 만다라화를 비롯해서밀교의 삼밀가지의 수행과 관련된 제요소들이 망라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밀교의 의식적 체계인 호.. 2025. 1. 28. 불교의 역사(76) - 밀교(2) - 삼밀가지(三密加持) 1. 비밀 밀교는 진언승(眞言乘), 금강승(金剛乘)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립니다. 경전마다 밀교의 정의와 의미는 조금씩 다릅니다. 아무튼 밀교는 "비밀불교"의 줄임말로서양에서는 "신비주의 불교"를 의미하는"에소테리스즘(Esotericism)"이라는 말로 표현합니다. 불교적 전승 가운데 진언, 다라니, 만다라, 그림적인 상징 등에담겨서 전해진 비밀한 가르침을 보통 이야기합니다. "비밀"이란 의미는밀교 교단 내부에서 자격을 갖춘 전법 스승이특정 제자에게 전해지는 가르침이기 때문입니다. 밀교는 사제전승의 '비밀한 가르침'이라서모든 이에게 공개된 가르침인 현교(顯敎)와는 구별됩니다. 2. 삼업과 삼밀 또한, 비밀은 3가지로 구분합니다. 신밀(身密), 구밀(口密), 의밀(意密)이 그것입니다.이것을 '삼밀(三密).. 2025. 1. 26. 불교의 역사(75) - 밀교(1) - 인도 밀교의 모습과 기원 1. 밀교의 진언과 다라니 이번 시간부터는 밀교(密敎)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밀교는 우리와는 동떨어진티벳 또는 일본 불교 종파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의외로 밀교는 우리나라 불교의여러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는 친숙한 불교입니다. 우리나라 불자들이 기도할 때가장 많이 독송하는 경전은 천수경입니다. 천수경은 '입을 깨끗히 하는 진언'인정구업진언으로 시작합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정구업진언"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는 밀교의 소산입니다. 그리고, "신묘장구 대다라니"와 같은긴 다라니를 독송하는 것도 핵심인 밀교적 영향입니다. 대승 반야사상의 요체를 담고 있어불자들이 의식 때에 많이 독송하는 반야심경도"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와 같은 진언으로 마무리합니다. 이와 같은 진언과 .. 2025. 1. 13. 불교의 역사(74) - 신앙의 불교(10) - 미륵 하생과 혁명가 궁예 1. 메시아, 미륵 한편, 미륵 신앙은 모순된 세상을 뒤엎고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혁명적 불교인에게 주목되는 신앙이었습니다.원래 미륵의 원어인 "마이트리아"는인도의 광명의 신인 "미트라(Mitra)"에서 왔다는 설이 있습니다."미트라"가 중동 쪽에서는 "구원자"를 뜻하는"메시아"라는 말로 변형되었다고 합니다.이처럼 우리나라에서도 미륵 부처님은어두운 세상을 구원하는 메시아,즉 구원자로 받아들여졌습니다. 미륵 신앙인들은 미륵의 새로운 세상인 용화 세계를이 땅에 지금 현재 건설하려는 혁명적 열정을 가지기도 했습니다. 2. 궁예와 미륵 신앙 대표적인 사람이 후고구려(태봉)를 세운 궁예입니다.궁예는 신라 말기 철원에 도읍을 정하고 후고구려를 세웠는데,원래 미륵을 섬기는 법상종 계통 사찰 세달사 승려 출신입니다... 2025. 1. 3. 이전 1 2 3 4 5 6 7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