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의 역사92

불교의 역사(84) - 삼밀가지 수행(3) - 의밀(意密) 수행 1. 삼매 (삼마디) 8정도 수행 중에 "정정(正定)"이 있습니다. 정정 (正定) 은 마음을 한 곳에 정하여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대승에서는 주로 "정정"이라는 표현 대신 이를 발전시킨 "삼매"라는 개념을 사용했습니다. 삼매라는 말은 인도말인 '사마디(sam dhi)'를 음역한 것입니다. "삼매"는 마음을 한곳에 정하여 움직이지 않는 상태이므로 "정(定)"이라고 합니다. 또한, 마음이 조절되므로 "조직정(調直定)"이라고도 합니다. 그리고, 마음이 흔들리지 않고 한결같이 유지되어 지혜가 나타나므로 "등지(等地)"라고도 합니다. 아울러 집중의 상태에서 법이 비로소 나타나 즐겁게 머물게 되므로 "현법락주(現法樂住)"라고도 합니다.  2. 요가행(유가행) 이와 같은 삼매의 세계로 가는 수행법을 '요가(y.. 2025. 2. 24.
불교의 역사(83) - 삼밀가지 수행(2) - 구밀(口密) 수행 1. 진실된 말, 진언 구밀(口密)은 말로 나타내는 소리를 통하여 부처님이 나에게 들어오고, 내가 부처님께로 들어가는 방법입니다. 이 구밀을 인도말로는 "만트라-다라니(mantra-darani)"라고 합니다. 우리는 흔히 '진언(眞言)'이라고 합니다. 깨달음의 세계를 언어나 문자로 표현한 진실한 말이라는 의미입니다. 또한, 진언을 통해서 미망을 타파하고 진리에 다가가게 하기 때문에어두운 미망을 파하고 밝은 세계로 인도하는 힘이 있는 말이라고 하여"명주(明呪)" 또는 "신주(神呪)"라고 합니다. 진언을 염송하면 마음이 통일되고,몸과 말과 생각이 법(진리) 그대로의 상태로 유지되므로 "총지(總持)"라고도 합니다. 흔히 진언을 통해 깨달음을 성취하려는 한국과 일본의 진언종과 같은 종파에서는 특히 중요시되는 밀.. 2025. 2. 20.
불교의 역사(82) - 삼밀가지 수행(1) - 신밀 수행 1. 삼밀가지 수행 밀교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가 그대로 진리의 현현이고,진리가 활동하는 부처님(대일 여래)의 세계임을 자각해야 한다고 합니다. 현상을 떠날 수는 진리가 있을 수 없고, 현상의 활동이 바로 진리의 활동이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밀교적 각도으로 바라본다면 우리가 몸과 말과 행동으로 행하는 삼업(三業)은 곧 삼밀(三密)입니다. 부처님의 삼밀은 그대로 중생의 삼밀이 됩니다.그러나, 현실에서 중생은 여전히 중생입니다. 부처님의 삼밀은 중생에게는 결코 경험할 수 없는 비밀스런 경계입니다. 이 비밀의 세계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수행이 필요합니다. 바로 '삼밀 수행'입니다. 삼밀 수행은 부처님의 삼밀을 밀교 수행자의 삼업(三業)에 투영하여,부처님의 삼밀을 밀교 행자의 체험 속에서 하나가 되는.. 2025. 2. 16.
불교의 역사(80) - 밀교(6) - 밀교의 수행관 1. 불교의 깨달음 우리나라, 일본 등의 동아시아 불교는과 을 중심으로 체계화된 순수 밀교를 정통으로 보고 성립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이나 일본의 과 같은 종파가 바로 이러한 순수 밀교(순밀)적 전통의 밀교 종파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순밀적 전통에서 바라본 밀교의 수행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불교는 항상 깨달음, 즉 해탈법은 가장 중심이 됩니다.깨달음(해탈법)은 시대에 따라 각기 다른 표현으로 설명되어 왔습니다.연기법, 공(空), 일심, 불성, 여래장 등은 바로 불교의 깨달음의 세계를 표현한 다른 표현일 것입니다.초기 경전에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숲속을 거니시면서 나뭇잎을 하나를주우시며 다음과 같이 말씀하시는 장면이 나옵니다."내가 설한 가르침은 내 손바닥 위에 있는 나무잎 같고,설하지 않은 가르침은 .. 2025.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