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역사90 불교의 역사(86) - 불교 탄트라(2) - '탄트라'의 개념 1. 탄트라(tantra) '탄트라'는 무슨 의미일까요? 탄트라는 "확장하는 것", "계속 하는것", "번식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무엇이 확장, 계속, 번식하는가 하면'지혜(반야)'를 확장하고 계속하고 번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이 지혜는 사고를 통해서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분별적인 지혜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지식'이라고 부르는 분석과 사고에 의해 얻어지는 지혜가 아닙니다. 탄트라에서 말하는 지혜는 사물의 본질을 투시하는 본질적인 지혜입니다. 그것은 분석과 사고에 의한 것이 아니라, 몸을 통한 느낌(feeling)을 통해 얻어지는 그 무엇입니다. 즉, 직관적 지혜를 말하는 것입니다. 이 직관이 작용하는 것은 몸을 통한 감각이라는 것에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지혜(반야)의.. 2025. 3. 5. 불교의 역사 (85) - 탄트라 밀교(1) - 욕망에 대한 밀교적 관점과 힌두 사크티 신앙 8세기로 넘어가면서 인도의 밀교는'탄트라 밀교'라는 새로운 형태가 출현합니다. 탄트라 밀교의 출현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첫째는 현실 그대로를 진리의 형태로 보는 밀교의 사상이 고도로 발전하면서모든 현실 존재(심지어 욕망까지도)를 긍정하고 그것을 그대로 진리화시키는 입장을 취하게 되었습니다.둘째, 힌두교의 샤크티(Sakti) 신앙, 즉 성(性)적인 힘과 창조력을 숭배하는 신앙을 수용하여남녀간의 성적인 결합까지 신성시하고 이를 의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서 출현한 인도 후기 밀교를 흔히 "탄트라(tantra)"라고 합니다. 한국,일본,중국 등의 동북아 불교권에서는과 을 중심으로 한 밀교를 "순수밀교"라고 하며 정통 밀교로 받아들였습니다.그리고, 남녀간의 성적인 결합까지 포용.. 2025. 3. 1. 불교의 역사(84) - 삼밀가지 수행(3) - 의밀(意密) 수행 1. 삼매 (삼마디) 8정도 수행 중에 "정정(正定)"이 있습니다. 정정 (正定) 은 마음을 한 곳에 정하여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대승에서는 주로 "정정"이라는 표현 대신 이를 발전시킨 "삼매"라는 개념을 사용했습니다. 삼매라는 말은 인도말인 '사마디(sam dhi)'를 음역한 것입니다. "삼매"는 마음을 한곳에 정하여 움직이지 않는 상태이므로 "정(定)"이라고 합니다. 또한, 마음이 조절되므로 "조직정(調直定)"이라고도 합니다. 그리고, 마음이 흔들리지 않고 한결같이 유지되어 지혜가 나타나므로 "등지(等地)"라고도 합니다. 아울러 집중의 상태에서 법이 비로소 나타나 즐겁게 머물게 되므로 "현법락주(現法樂住)"라고도 합니다. 2. 요가행(유가행) 이와 같은 삼매의 세계로 가는 수행법을 '요가(y.. 2025. 2. 24. 불교의 역사(83) - 삼밀가지 수행(2) - 구밀(口密) 수행 1. 진실된 말, 진언 구밀(口密)은 말로 나타내는 소리를 통하여 부처님이 나에게 들어오고, 내가 부처님께로 들어가는 방법입니다. 이 구밀을 인도말로는 "만트라-다라니(mantra-darani)"라고 합니다. 우리는 흔히 '진언(眞言)'이라고 합니다. 깨달음의 세계를 언어나 문자로 표현한 진실한 말이라는 의미입니다. 또한, 진언을 통해서 미망을 타파하고 진리에 다가가게 하기 때문에어두운 미망을 파하고 밝은 세계로 인도하는 힘이 있는 말이라고 하여"명주(明呪)" 또는 "신주(神呪)"라고 합니다. 진언을 염송하면 마음이 통일되고,몸과 말과 생각이 법(진리) 그대로의 상태로 유지되므로 "총지(總持)"라고도 합니다. 흔히 진언을 통해 깨달음을 성취하려는 한국과 일본의 진언종과 같은 종파에서는 특히 중요시되는 밀.. 2025. 2. 20. 이전 1 2 3 4 5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