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의 역사92

불교의 역사(67) - 신앙의 불교(3) - 극락 정토의 훌륭함 1. 아미타 부처님의 바라밀행 지난 시간에 아미타 부처님의 48대원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아미타 부처님은 어떻게 48대원을 성취하셨고,아미타 부처님의 48대원이 성취된 극락 세계를 장엄할수 있었을까요? 그리고 극락 세계는 얼마나 훌륭한 불국토일까요?아미타 부처님의 전생인 법장 보살은 48대원을 세우고'이 서원이 성취되지 않으면 결코 성불하지 않겠다'는 각오로 임하셨습니다. 이와 같이 서원을 성취하기 위한 금강같은 맹세를 하고수억겁의 긴 세월을 보살행을 통해 서원을 성취하셨다고 합니다. 즉, 법장 보살은 무량한 겁 동안 보살행, 바라밀행의 실천을 통해 자신의 서원을 성취하고 성불하여 마침내 아미타 부처님이 되셨고 48대원의 성취로 건설된 불국토가이 바로 극락 정토인 것입니다.  2. 몇 가지 서.. 2024. 11. 13.
불교의 역사(66) - 신앙의 불교(2) - 아미타불 48대원 1. 나무아미타불 우리 나라에서 가장 널리 신앙되는 불교는극락 세계를 장엄하신 아미타 부처님에 대한 신앙입니다. 불자가 아니라도 나무아미타불>이라는 말은 다 들어보셨을 것입니다.은 '아미타 부처님께 귀의합니다.'는 신앙 고백입니다. 즉, 극락을 장엄하신 아미타 부처님에 대한 믿음과 귀의를 통해극락 왕생하겠다는 불교 신앙이 바로 나무아미타불 정토 신앙입니다.  오늘은 아미타 부처님이 어떤 부처님이고,아미타 부처님의 48대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아미타 부처님은 에 등장하는 부처님입니다. 은 아미타 부처님께서 어떻게 아미타 부처님이되셨는지를 설하고 있습니다. 아미타불은 원래 한 나라의 어진 임금이었습니다. 그런데, '세자재왕여래'라는 부처님이 출현하여설법하시는 것을 듣고 발심하여 왕위를 버리고 출가하여"법.. 2024. 11. 6.
불교의 역사(65) - 신앙의 불교(1) - 불국토(정토) 1. 다양한 불보살님 우리는 절에 가면 다양한 불보살님을 모신 전각을 참배하고 기도하고 신앙합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신 대웅전,아미타 부처님을 모신 극락전,약사여래 부처님을 모신 약사전,비로자나 부처님을 모신 비로전(대적광전),미륵 부처님을 모신 미륵전,관세음보살님을 모신 관음전,지장보살님을 모신 지장전 등등 입니다. 극락전에는 염불하며 극락왕생을 기도하고,관음전에는 염불하며 자신의 소원을 기도하고,지장전에는 염불하며 악업을 참회합니다. 이와 같이 각 불보살님의 자비와 서원에 대해 설한여러 경전들을 토대로 수많은 불보살님께 예배하고 신앙합니다.  2. 신앙의 불교 불교에서는 다양한 불보살님을 모시고 있습니다. 대승 불교는 다양한 불보살님들을 신앙하고,불보살님들의 자비와 원력에 의지할 뿐만 아니라.. 2024. 10. 28.
불교의 역사(64) - 유식 불교(11) - 견도위, 수습위, 구경위 견도위, 수습위, 구경위 >  1. 견도위 제3 견도위(見道位) 단계는 가행위에서의 유식의 지관 수행을 통해 드디어 진리를 체험적으로 증득했다는 단계입니다. 선종에서 "견성(見性)" 했다는 것과 비슷한 의미입니다. 유식의 참다운 성품인 유식성(실재와 현상의 진실한 모습)에 통달했다고 하여 "통달위"라고 합니다. 이 단계는 인식하는 자아는 인식되는 대상을 떠나서 별도로 존재하지 못하고인식 대상도 역시 그것을 인식하는 주관의 인식을 벗어나서는 존재하지 못한다는 연기적 속성을 확고히 아는 것입니다. 그리고, 세계는 외부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인식하는 사람의 의식에 현현되는 영상일 뿐임을 여실히 알고 여기에 대한 갈망이나 분별, 집착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이것을 불교적 용어로 ‘분별이 없는 지혜(무.. 2024.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