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의 역사67

불교의 역사(22) - 반야부 경전(1) / 금강경의 문제의식 1. 교판 작업 이번 시간부터 본격적으로 대승 경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들이 읽고 있는 대승 경전은 대부분 중국에서 번역된 한문으로 된 대승 경전입니다. 중국에 본격적으로 불교가 전파되고 대중화된 시기는 AD 300~500년경의 남북조 시대였습니다. 남북조 시대는 북방의 유목 민족이 중국을 쳐들어온 혼란기였습니다. 남북조 시대 때 1,000년의 긴 역사 속에서 인도에서 형성된 수많은 불교 경전과 논서들이 중국에 들어왔습니다. 대승불교의 성립 과정과 역사성을 잘 몰랐던 중국 사람들은 같은 부처님의 말씀이라도 서로 다른 사상적 특징을 갖는 수많은 경전들에 대해 혼란스러워했습니다. 그래서, 수많은 경전들을 번역하면서 경전들을 사상적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작업이 요구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작업을.. 2023. 12. 16.
불교의 역사(21) - 대승 경전의 출현 1. 중생 구제의 대승 불교 대승불교는 자신의 완성에만 안주하지 않고 자비심으로 중생들을 가엾게 여기고 이들을 고통의 세계에서 건져주고 나와 남이 함께 보리도를 이루려고 하는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서원을 생명으로 하는 보살의 불교를 말합니다. 소승 불교의 교리가 나고 죽는 윤회를 두려워하여 윤회에서 벗어나는 것을 강조하는 반면, 대승 불교는 윤회를 두려워하지 않고 열반에도 머물지 않고 오히려 나고 죽는 생사의 물결에 뛰어들어 적극적인 중생 구제의 활동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대승불교는 소승 불교에 비해 적극적, 진취적, 이타적, 동적, 현실적 성격을 갖습니다. 2. 대승 불교 출현의 배경 대승불교 운동은 동일한 지역과 시점에서 어떤 특정 인물의 주도에 의해 소승 불교를 한꺼번에 대체해 버린 운동이 아닙니.. 2023. 12. 14.
불교의 역사(20) - 대승 불교의 다불(多佛) 신앙과 불신관(佛身觀) 1. 대승불교의 특징 앞 시간까지 대승 불교의 출현과 보살의 6바라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보살은 서원을 세우고 6바라밀을 통해 고통 속에 있는 중생들을 구제하여 깨달음의 세계로 인도하는 자비로운 수행자를 말합니다. 대승불교는 이와 같은 보살들의 노력으로 이 세상을 불국토로 장엄하는 보살 불교를 추구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다불 (多佛) 신앙 그리고, 대승불교의 또 하나의 특징 중 하나는 다양한 불보살님들에 대한 신앙을 중시하는 불교라는 것입니다. 대승불교에서 부처님을 바라보는 관점인 불신관(佛身觀)은 소승 불교와는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소승불교는 부처님은 한 시대 한 국토에 오직 한 분밖에 계시지 않는다는 일불(一佛) 사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대승불교는 한 시.. 2023. 12. 12.
불교의 역사(19) - 반야 바라밀 1. 세속적 지혜와 반야의 지혜 보살의 6바라밀 중 제일 마지막 바라밀은 반야 바라밀입니다. ‘반야’는 ‘완전한 지혜, 완전한 인식’을 의미하는 인도 말인 ‘프라즈나(Prajna)’의 소리 번역입니다. 불자들이 많이 독송하는 의 ‘마하반야바라밀’ 할 때의 바로 그 반야입니다. 그런데, 우리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할 때는 ‘반야’라는 말보다는 ‘지혜’라는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지혜에는 ‘세속적 지혜’와 ‘반야적 지혜’가 있습니다. 세속적 지혜는 사물과 자연 현상에 대한 이해와 응용, 사회 속에서의 적절한 대인 관계와 정치, 경제, 사회 구조 등등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이에 따른 올바른 가치관을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반야의 지혜는 인과와 연기법, 사성제에 입각한 정견(正見)에 입.. 2023.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