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86

불교의 역사(60) - 유식 불교(8) - 요가행과 유식 수행 1. 유가행파 그러면, 유식불교는 어떠한 수행관과 수행체계를 가지고 있을까요? 흔히 유식사상에 의거하여 수행하는 수행자를 유가사(瑜伽師), 또는 유가행파(瑜伽行派)라고 부릅니다. '유가사'나 '유가행파'라는 말은"요가(Yoga)행을 실천하는 사람"이라는 말입니다. 요가가 인도 사상 전반에서"선정(지관)"을 가리키는 것으로유식 사상이 단순히 지적이고 이론적인 체계와는 다른철저한 실천 수행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유식 사상은 요가 체험을 바탕으로 하였다는 것입니다.  2. 요가 요가(Yoga)는 '상응(相應)'이라 번역합니다.'상응'이란 마음과 대상이 상응, 융합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대상은 마음과 상응하고,행(실천)은 이치와 상응하고,과(果열매)는 공덕과 상응하는 것을 말합.. 2024. 10. 3.
법구경(96) 많은 자식을 두었던 바후뿟띠까 비구니 이야기 뿟띠까 비구니 이야기>  부처님께서 기원정사에 계시던 어느 때,자녀를 많이 둔 어머니 바후뿟띠까와 관련하여 게송 115번을 설법하셨다.한때 사와티에 "소냐"라는 이름의 한 여인이 남편과 함께 결혼을 한 아들딸 열 넷과 그들에게 딸린 많은 가족을 거느리고 살고 있었다. 그러다가 남편이 죽자 소냐는 재산을 자녀들에게 주지 않고 계속해서 자기가 관리했다.자녀들은 얼마라도 재산을 상속 받기를 원했으므로 어머니인 소냐에게 이렇게 여쭈었다.“저희 집에 재산이 아무리 많아도 저희들에게는 아무 재미도 없습니다.저희가 어머님 한 분을 잘 모시지 못할 것으로 생각하셔서 재산을 물려주시지 않으십니까?”아들딸들이 이같이 하도 졸라대었으므로결국 소냐는 그들이 자기를 잘 보살펴 주리라 믿고전 재산을 모든 자녀들에게 골고루 나누어.. 2024. 10. 2.
나무아미타불(13) - 관무량수경 1. 위경의 존재 이유 은 무량수경>, 아미타경>과 더불어 정토 3부경의 하나입니다. 그런데, 무량수경>과 아미타경>은 산스크리트 원본인 범본이 남아 있습니다.원래 인도에서 만들어진 경전이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관무량수경>은 인도 원전인 범본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많은 학자들은 이 인도가 아닌 중국에서 찬술된 경전으로 보고 있습니다. 옛날 중국에서는 인도에서 찬술된 경전은 '진경(眞經)'이라 하고,중국에서 찬술된 것으로 의심되는 경전은 '위경(僞經)' 또는 '의경(疑經)'이라 불렀습니다. '위경'이나 '의경'은 어떻게 보아야 할까요? 글자 그대로 ‘가짜 경전’이라고 내버려야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부처님의 가르침이 수용되는 상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부처님의 가르침을 조화시키고 보충하기 위한 필요.. 2024. 10. 1.
불교 인물사(57) - 인도 신불교의 아버지 암베드카르(1) - 카스트 제도 1. 인도와 카스트 제도 인도하면 흔히 간디를 떠올립니다. 영국은 영국이 낳은 세계적 문호인 세익스피어를 인도와 바꾸지 않겠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인도 또한 간디를 영국과 바꾸지 않겠다고 이야기할 정도로 간디에 대한 인도인의 존경과 사랑은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인도에는 간디와 동시대 사람으로 간디만큼이나 존경받는 또 한 사람의 인물이 있습니다. 바로 불가촉천민의 해방자라고 불리워지는 "암베드카르(Ambedkar)"입니다.  간디는 영국 제국주의에 맞서 식민지의 해방을 비폭력적으로 이끈 지도자였습니다. 반면 암베드카르는 인도에서 간디보다 더 치열하게 인간 해방을 위한 투쟁의 삶을 살았던 인물이었습니다. 인도 불교 성지 순례를 할 때 인도의 소박한 농촌에서 파란 양복에 둥근 안경을 쓰고법전을 들고 .. 2024. 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