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역사92 불교의 역사(63) - 유식 불교(11) - 가행위 1. 가행위와 4심사관 유식의 5가지 수행의 단계 중에 가장 독특한 것이 2번째 가행위(加行位) 입니다. 가행위는 유식 수행의 가장 핵심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가행(加行)"이란 힘을 더하여 더욱 가열차게 정진한다는 의미입니다. 첫단계인 자량위는 복덕과 지혜로서 내적인 자질과 역량을 키우는 예비 단계입니다. 두번째 가행위(加行位)는 '4심사관(四尋思觀)'이라는 관법을 통해 4여실지(四如實智)를 닦아서 견도(見道)에 이르는 것을 말합니다. 가행위에서의 닦음과 관법을 통해해 유식의 본성(유식성)에 머무는 제3의 통달위(견도위)에 이를 수 있게 됩니다. 먼저, 4심사관(四尋思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4심사관은 4가지 법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사유하는 관법입니다. 4가지 법이란 명칭(名), 사물(事), 자.. 2024. 10. 18. 불교의 역사(62) - 유식 불교(10) - 자량위 1. 수면 이번 시간부터는 유식의 5위 수행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앞에서 설명한대로 유식학파는 수행 과정을자량위, 가행위, 견도위, 수습위, 구경위 라는 5가지의 단계의 수행 계위를 설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첫 번째인 '자량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자량위(資糧位)"란 문자 그대로 내적인 자질(자資)과 역량(량糧)을 키우는 단계입니다. 흔히 유식에서는 "번뇌"를 "잠을 자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수면(隨眠)’이란 용어로서 표현합니다. 수(隨)는 ‘따르다’는 의미입니다. 이것은 주관과 객관에 의한 심리적인 인식에 마음이 끌려서 ‘따라가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집착’과 같은 말로서, 기쁘거나 슬픈 혹은 고통을 받는 상황에서,자신도 모르게 순간적으로 어떤 감정에 손쉽게 끌려가게 된다는 것입.. 2024. 10. 14. 불교의 역사(61) - 유식 불교(9) - 요가행과 유식 수행 1. 유식의 5위 수행 지난 시간에 유식 불교는 요가행을 통한 5단계의 수행 체계를 갖고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 5단계를 유식 수행 체계로서 이야기를 하면1. 자량위(資量位) 2. 가행위(加行位), 3.통달위(通達位) 4. 수습위(修習位) 5.구경위(究境位)의 5위 수행입니다.요가의 5단계는 지관 수행이며, 다르게 표현하면 문(聞),사(思),수(修)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문(聞)"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내면에 축적하는 것으로 용기에 물을 채우는 것과 같은 단계입니다."사(思)"는 들은 가르침을 근원적으로 사유하는 단계로 들은 것을 자신의 사유와 명상을 통해 자기 속에 안치하는 것입니다."수(修)"는 닦음의 단계로서 집착과 갈망을 끊고(지止), 법을 잘 관찰하여(관觀) 진리를 증득하는 단계입니다... 2024. 10. 9. 불교의 역사(60) - 유식 불교(8) - 요가행과 유식 수행 1. 유가행파 그러면, 유식불교는 어떠한 수행관과 수행체계를 가지고 있을까요? 흔히 유식사상에 의거하여 수행하는 수행자를 유가사(瑜伽師), 또는 유가행파(瑜伽行派)라고 부릅니다. '유가사'나 '유가행파'라는 말은"요가(Yoga)행을 실천하는 사람"이라는 말입니다. 요가가 인도 사상 전반에서"선정(지관)"을 가리키는 것으로유식 사상이 단순히 지적이고 이론적인 체계와는 다른철저한 실천 수행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유식 사상은 요가 체험을 바탕으로 하였다는 것입니다. 2. 요가 요가(Yoga)는 '상응(相應)'이라 번역합니다.'상응'이란 마음과 대상이 상응, 융합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대상은 마음과 상응하고,행(실천)은 이치와 상응하고,과(果열매)는 공덕과 상응하는 것을 말합.. 2024. 10. 3. 이전 1 ··· 5 6 7 8 9 10 11 ··· 23 다음